해수 담수화 공정의 고압펌프 가변속 운전에 따른 동력 절감 1. 서 론
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증가와 기후 변동의 영향으로 이용
가능한 양질의 물이 제한적으로 공급되고 있으며, 수많은 인
구가 물 부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. 세계보건기구(WHO)에
따르면 우리나라도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되고 있어, 수량 자
원 확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. 우리나라는 여름철에 강수
량이 집중되며 대부분의 강수량이 별도로 보관되지 못하고
하천을 통해 바다로 흘러가 여름철을 제외한 기간에는 물 부
족이 발생하게 된다. 특히 겨울철 가뭄이 심해지면 봄철 농
경용수도 부족하게 되어 그 해 농사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,
서해안 등 일부 지역에서는 공장용수도 부족한 실정이다. 이
러한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수담수화가 유력한 해
결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다. 국토의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
있는 우리나라의 지형 특성상 풍부한 해수를 잘 이용 한다면
물 부족국가란 오명을 벗어날 수 있으며 나아가 물을 이용한
복지정책을 통해 물 복지 국가란 명성을 얻을 수 있다. 이를
위해서 해수를 담수로 만드는 기술의 발달과 경제성이 확보
되어야 한다. 그리고 해수 담수화에 대한 국민적인 의식수준
개선이 동반되어야 한다. 현재 해수담수화에 대한 인식은 수
자원을 인위적으로 변화 시킨 것으로 간주되어 식수에 대한
거부감을 가지고 있다. 사실 해수에는 많은 이온과 불순물이
함유되어 있으나 그 농도는 강물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
다. 강물의 경우에는 유기물질이 강물로 유입되면서 심한 규
조류 번식으로 인해 언론에서 회자되는 녹조 라떼 문제가 발
생하며, 이러한 강물을 취수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정수하
여 가정으로 보낼 경우 가정에서 받는 상수도 물에 냄새가
발생하여 시민의 불안을 야기 시키는 경우가 발생한다. 그러
나 해수담수화의 경우에는 불순물의 농도가 강물보다 낮을
뿐만 아니라 고도의 정수 처리공정을 거쳐 바닷물을 여과 하
고 소금 성분의 이온을 제거하기 때문에 일반 강물 정수장의
물 보다 수질이 더 좋다. 이러한 해수담수화를 가정용 및 산
업용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담수화 하는 생산단가가 저렴해
야 하는데, 현재의 해수담수화 플랜트에서는 물 1톤을 생산
하기 위해 드는 비용은 일반 강물 정수장 보다 높으며, 이는
전력 에너지 소비가 높기 때문이다. 높은 전력 에너지 소비
는 물 생산단가 상승의 주요한 원인이 되므로 에너지 소비량
을 절감하는 것이 주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.
|